반응형
k8s 클러스터를 네임스페이스 별로 사용자에게 할당해서 자원을 관리하는데,
"A" 라는 네임스페이스에서 파드를 생성 했을 때, worker-node001 노드에서만 파드 생성이 필요한 적이 있어서 사용 했던 방법입니다.
먼저 노드에 label을 추가해줍니다.
# kubectl label node <노드 이름> <원하는 라벨=원하는 라벨>
ex) kubectl label node worker-node001 project=test
그리고 네임스페이스에서 "annotate"를 설정해줍니다.
# kubectl annotate namespace <namespace 이름> cheduler.kubernetes.io/node-selector="<원하는 label=원하는 label>"
ex) kubectl annotate namespace test-namespace cheduler.kubernetes.io/node-selector="project=test"
이렇게 설정 후, 해당 Namespace에서 파드를 생성을 하면 "project=test" 라벨이 있는 노드에서만 파드가 생성이 됩니다.
반응형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ul 삭제 후에도 webhook 에러 발생 (1) | 2024.12.31 |
---|---|
GPU 파드 생성 시 겪었던 오류 (nvidia-container-runtime) (0) | 2024.11.11 |
kubespray로 k8s 설치 (0) | 2024.10.30 |
MetalLB 설치 오류 해결 (kyverno 정책) (0) | 2024.10.15 |
NFS를 사용하여 k8s에서 PV 동적 할당 해보기 (4)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