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peline 8

Blue - Green 배포 실습 해보기

이번에 해볼 것은 Blue - Green 배포를 직접 해보겠습니다. 사전 준비 사항Github Action 사용법k8s 클러스터 환경Helm 설치 목표Nginx 이미지를 사용해서 Blue - Green 배포 동작 방식을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1. ArgoCD, ArgoCD-rollout 설치Helm 차트를 통해 설치를 진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helm repo add argo https://argoproj.github.io/argo-helmhelm install argocd argo/argo-cd --version 7.7.10helm install argo-rollout argo/argo-rollouts2. Nginx 이미지 커스텀제가 원하는 index 내용을 보여주..

Pipeline 2024.12.20

Github Action 원하는 환경에서 Workflow 작업 해보기

이번에 해볼 것은 원하는 환경에서 Workflow 를 실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x) 노트북, 가상 머신 등Self-hosted runner 설정 1. Github 레포지터리 접속 2. Settings -> Actions -> Runners -> New-self-hosted runner 3. 실행 환경의 OS 선택(저는 노트북의 OS가 Window여서 Window로 선택을 하였습니다.)  Download 방법에 나온 명령어를 입력하여 다운로드 해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Configure 에 나온 방법 대로 명령어를 실행 해주면 self-hosted 환경 설정이 완료됩니다. 4. YAML 파일에서 실행환경을 self-hosted로 지정 ex)name: Example Workflow on: push:..

Pipeline 2024.12.19

Github Action 이란 ?

Github Action 이란 ?Github에서 제공하는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플랫폼 입니다.Github Action을 사용하여 빌드, 테스트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자동화 할 수있습니다. 바로 실습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먼저 Github Action의 Workflow를 실행하기 위해서 .github/workflow 라는 디렉터리가 필요합니다. 해당 디렉터리 안에 Workflow를 돌리기 위한 YAML 파일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repository를 생성하고 해당 repository에서 디렉터리를 생성 해줍니다. 폴더 tree는 아래와 같습니다..githubㄴ workflows ㄴ workflow를 정의할 YAML 파..

Pipeline 2024.12.19

주먹구구식 Gradle 빌드/배포 자동화 (Gitlab-runner, ArgoCD)

앞서 진행했던 Gradle 빌드 참고해주세요. 2024.07.25 - [Git] -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기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기이번엔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겠습니다.1. Gitlab Project에 build 할 때 필요한 파일 업로드저 같은 경우에는 Gitlab에서 Project를 하나 생성을 한 후에 빌드에 필요한 파일들을 모두 올려두ksh-cloud.tistory.com docker_build 단계Gradle 빌드를 완료하면,해당 jar 파일 가지고 이미지 빌드를 해준 후에 Harbor 레지스트리에 push 해줍니다.우선 Dockerfile의 내용을 변수로 생성해줍니다.(GitLab Proje..

Pipeline 2024.08.13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기

이번엔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겠습니다.1. Gitlab Project에 build 할 때 필요한 파일 업로드저 같은 경우에는 Gitlab에서 Project를 하나 생성을 한 후에 빌드에 필요한 파일들을 모두 올려두었습니다.  2. 원격 서버에 SSH 키 생성 및 Pipeline 변수 설정.gitlab-ci.yml 파일로 Run Pipeline 하기 전에 원격 서버(10.10.92.10)에서 해주어야 할 일이 있습니다. 1. SSH 키 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두 개의 파일이 생성 됩니다.id_rsa (개인 키)id_rsa.pub (공개 키) 2. 서버의 인증된 키에 공개 키 추가앞서 생성된 공개 키를 원격 서버(10.10..

Pipeline 2024.07.25

Gitlab runner 사용해서 CI 해보기

이번에 해볼 것은 Gitlab runner 사용해서 docker 이미지 빌드하고 harbor 레지스트리에 추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config.toml 파일 수정우선 Gitlab runner에서 docker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etc/gitlab-runner/config.toml 파일을 수정해줍니다.[[ruuners]] executor = "shell" => "docker" [runners.docker] tls_verify = false image = "docker:24.0.5" privilieged = true config.toml 파일을 수정해준 다음 Gitlab-runner를 재시작 해줍니다.(저 같은 경우에는 docker 컨테이너로 gitlab-runner 서비스를 실행해주었기 때..

Pipeline 2024.06.14

Jenkins Pipeline을 사용하여 이미지 빌드 및 푸시 해보기 (Github, Harbor)

이번엔 Jenkins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빌드 및 푸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Jenkins를 설치해줍니다.Jenkins 설치저는 docker-compose를 사용해서 설치를 했기 때문에 docker compose부터 설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참고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ubuntu/#install-using-the-repositoryhttps://docs.docker.com/compose/install/linux/ 먼저 Docker 부터 설치를 해줍니다. (OS는 Ubuntu 20.04를 사용하였습니다.)# apt install -y docker.io그리고 docker compose를 설치하는데, 하기 전에 apt repository부터 잡아줍니다.공식 ..

Pipeline 2024.05.09

Helm을 사용하여 Jenkins 설치해보기

먼저 Helm 패키지 매니저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elm 설치하는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습니다.(https://helm.sh/ko/docs/intro/install/) 저는 Ubuntu 환경이여서 Apt 패키지 매니저로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Helm 설치# curl https://baltocdn.com/helm/signing.asc | gpg --dearmor | sudo tee /usr/share/keyrings/helm.gpg > /dev/null#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yes# echo "deb [arch=$(dpkg --print-architecture) signed-by=/usr/share/keyrings/helm.gpg] http..

Pipeline 2024.04.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