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해볼 것은, 제 노트북과 가상머신의 서버와 SSH 연결을 패스워드 없이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노트북(Window)
우선 명령프롬프트를 켜줍니다.
이제 "ssh-keygen"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나오는데 그냥 Enter 를 계속 입력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id_ed*.pub 키가 생기는데, 해당 Key의 내용을 가상머신 서버에 입력해줍니다.
가상머신(Ubuntu)
가상머신에 접속을 해서 "사용자 밑에/.ssh"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면, 노트북에서 -> 가상머신에 SSH 접속을 할 때, root 유저로 접속을 할 것이면,
"/root/.ssh" <- 이와 같이 root 계정의 폴더 밑에 .ssh 폴더를 생성을 해주면 되고,
test라는 유저로 SSH 접속을 하고 싶으면
"/home/test/.ssh" <- 이와 같이 test 계정의 폴더 밑에 .ssh 폴더를 생성해주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root 계정으로 SSH 접속을 진행할 예정 입니다.
따라서 /root 경로 밑에 .ssh 폴더를 생성 해주겠습니다.
# cd /root
# mkdir .ssh
그리고 authorized_keys 파일에 앞서 window의 id_ed*.pub 키의 내용을 넣어주도록 하겠습니다.
# vi authorized_keys
ssh-ed25519 ....
이제 노트북의 프롬프트 창에서 패스워드 없이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내 노트북 (window)
SSH 접속을 해줍니다.
이미지와 같이 바로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XE-E99: Unexpected network error 해결 (0) | 2025.01.02 |
---|---|
(Ubuntu) sudo 명령어 패스워드 입력 없이 사용하기 (0) | 2024.12.11 |
Forward Proxy 구성 및 확인 (0) | 2024.09.13 |
Ubuntu 유저 생성 및 sudo 권한 부여 (1) | 2024.06.04 |
RHCSA 공부 3일차 (1)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