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Repository를 만드는 이유는, 실제 환경은 내부망이기 때문에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yum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이때 local Repository를 만들어서 yum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vi /etc/yum.repos.d/CentOS-Base.repo
name: repository 이름 mirrorlist: 등록된 경로를 자동으로 찾고 그 사이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함 baseurl: 직접 지정한 저장소 주소 gpgcheck: gpg key 사용 여부 (패키지 변조 및 정상 여부 파악) gpgkey: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 enabled: 해당 레포지터리 활성화 여부
각 name 상단에 base, updates, extras는,
base: yum 서버의 기본 패키지 경로
updates: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
extras: 사용 중인 패키지와 관련된 추가 패키지 경로
따라서 yum은 mirrorlist 나 baseurl에서 패키지를 다운 받는 형식입니다. 또한 yum.repos.d 디렉토리에 repo파일들이 없으면 yum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제 Local Repository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가상머신의 cdrom에 centos-everything.iso을 넣습니다.
cd-rom 마운트 진행 및 패키지 복사
mkdir /cd
mount /dev/sr0 /cdmkdir /repo
cp /cd/Packages/* /repo &
Repository 생성 및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y createrepo
기존의 repo파일들을 /backup 디렉토리에 옮깁니다. => yum 패키지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파일 이동
mkdir /backup
mv /etc/yum.repos.d/* /backup/
기존의 repo파일을 옮겻으니 새로운 레포지토리 지정 vi /etc/yum.repos.d/local.repo
[localrepo]name=my local repository
baseurl=file:///repo
enabled=1gpgcheck=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