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해볼 것은 원하는 환경에서 Workflow 를 실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x) 노트북, 가상 머신 등
Self-hosted runner 설정
1. Github 레포지터리 접속
2. Settings -> Actions -> Runners -> New-self-hosted runner
3. 실행 환경의 OS 선택
(저는 노트북의 OS가 Window여서 Window로 선택을 하였습니다.)
Download 방법에 나온 명령어를 입력하여 다운로드 해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Configure 에 나온 방법 대로 명령어를 실행 해주면 self-hosted 환경 설정이 완료됩니다.
4. YAML 파일에서 실행환경을 self-hosted로 지정
ex)
name: Example Workflow
on:
push:
branches:
- main
jobs:
example-job:
*** runs-on: self-hosted *** 해당 부분에 self-hosted로 지정
steps:
- name: Checkout code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Print Hello World
run: echo "Hello, World!"
위와 같이 runs-on: self-hosted 로 지정을 해주면
위 이미지 처럼 로컬 환경에서 Workflow가 돌아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Pipel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ue - Green 배포 실습 해보기 (1) | 2024.12.20 |
---|---|
Github Action 이란 ? (0) | 2024.12.19 |
주먹구구식 Gradle 빌드/배포 자동화 (Gitlab-runner, ArgoCD) (1) | 2024.08.13 |
Gitlab-runner 사용해서 Gradle 빌드 해보기 (0) | 2024.07.25 |
Gitlab runner 사용해서 CI 해보기 (1)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