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 가상화란?
'한 대의 물리적인 서버에 여러 대의 논리적인 가상머신을 작동시키는 것' 을 말한다.
우선 가상머신은 OS가 설치가 된다. (이걸 게스트 OS라 한다)
가상머신에 설치된 OS는 독자적으로 운영이 되며 어플리케이션도 독립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머신은 완전히 독립되어 있으며 서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가상머신들은 자신이 하나의 물리적인 머신에서 동시에 동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 이런 가상머신들은 물리적인 서버에 설치된 하이퍼바이저 에 의해 관리된다.

가상머신의 특징들에 대해 살펴 보자면,
1. 격리
- 가상머신을 물리 하드웨어로 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 기존에는 물리 서버에 OS를 직접 설치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물리 서버와 OS를 분리할 수 없었지만 가상머신은 물리서버와 OS사이에 가상머신이라는 논리적인 형태를 생성함으로써 물리 서버와 OS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2. 캡슐화
- 하나의 물리 서버안에 여러 대의 가상머신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를 "캡슐화" 라 칭한다.
3. 하드웨어 비의존성
- 가상머신은 캡술화와 격리에 의해 물리적인 서버에 더 이상 종속되지 않음.
- 논리적 서버인 가상머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논리적인 레벨에서 관리
- 서로 다른 물리적인 서버 간에도 가성머신들은 이동할 수 있음

반응형
'이론 > 가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0) | 2023.12.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