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1 4

POD 생성 시 kyverno error 해결

이번엔 제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운영 하던 도중에 겪었던 문제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오류 내용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특정 네임스페이스에서 POD를 생성하는 데, 아래 이미지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었습니다. 보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webhook 호출에 실패해서 POD가 생성이 되질 않는 오류가 있었습니다.해결 방안kyverno-policy-mutating-webhook-cfg에서 특정 네임스페이스에서kyverno-webhook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외 하도록 해줬습니다. 먼저 Helm 차트를 통해 kyverno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준 터라values.yaml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고 적용을 시켜줘야 webhook 설정이 변경됩니다.# vi values.yaml-----webhooks: # Exc..

쿠버네티스 2025.01.06

Helm 차트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의 values.yaml 내용 확인하기

Helm 차트를 사용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고 있는 values.yaml 파일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사용하고 있는 helm list를 확인 해줍니다.# helm list 그리고 Helm 차트를 사용해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확인하여 아래 명령어에 적어주면 됩니다.# helm show values "Helm list에서 확인한 이름" > values.yamlex)# helm show values kyverno > kyverno-values.yaml 이렇게 하면 Helm 차트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고 있는 values.yaml 파일을 추출 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2025.01.06

PXE-E99: Unexpected network error 해결

PXE Boot를 시도 하던 도중 아래 이미지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오류를 해결한 내용을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인: tftpd.service 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지 않음  tftpd.service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던 이유는,  PXE의 서버의 /run 디렉터리가 Full이 되어서 tftpd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습니다./run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임시 파일,디렉터리를 저장하는 디렉터리 입니다. 해결 방법: (PXE 서버에서 할 것) 1. /run 디렉터리의 용량을 정리2. tftpd.socket 데몬 재시작3. tftpd.service 데몬 재시작  위 3가지를 해결하니 정상적으로 PXE Booting이 되었습니다.

Linux 2025.01.02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이란 ?

테이트풀셋(StatefulSet) 이란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은 Kubernetes의 워크로드 API 중 하나로,항상 동일한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한 리소스 입니다.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 비슷하게, 동일한 컨테이너의 스펙을 기반으로POD를 관리 합니다.다만,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는 POD가 재스케줄링 되면, 이전 파드가가지고 있는 내용이 사라지지만,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은 재 스케줄링 되어도 이전의 POD와 동일한 상태를유지합니다.즉,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은 POD의 고유성(identity)과 순서를 보장하며,데이터베이스, 분산 파일 시스템, 메시지 큐와 같은 상태를 저장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배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