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16

Quota란?

Quota란? Quota란? 사용자나 그룹 별로 디스크 사용량 제한 하드디스크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전체 용량 설정 하드 리미트는 사용자가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최대 값 소프트 리미트는 설정한 값을 넘으면 유예기간을 주고 이후에는 넘을 수 없는 한계 값 주의 사항 반드시 selinux permissive or disabled -> getenforce (setenforce 0) quota 설치 해야함 Quota 명령어 quotacheck : 쿼타 파일을 생성, 확인, 수정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스캔하는 명령어 quotacheck [option] Or [filesystem] -a: 전체 파일 시스템을 스캔 -u: 사용자 쿼타를 확인 ex) quotacheck -avgm quotaon : 파일..

Linux 2024.01.23

[Ubuntu 20.04] DNS Master - Slave 이중화 구성

구성정보 WebServerDNS - MasterDNS - Slave CPU 2 Core 2 Core 2 Core Memory 2 GB 2 GB 2 GB Storage 50 GB 50 GB 50 GB Host IP 192.168.56.103 192.168.56.101 192.168.56.102 1. Master DNS 구성 1-1. Bind, resolvconf 설치 # sudo apt install -y bind9 resolvconf 1-2. 정방향 도메인 파일 경로 지정 Master DNS 서버로 사용할 IP 네임서버로 등록하기 위해 /etc/resolv.conf를 수정 해야하지만 resolve.conf 파일에서 직접 수정을 하면 서버를 재시작 했을 때, 다시 초기화가 된다. 그러므로 resolvcon..

Linux 2024.01.19

Local Repository 만들기

오늘은 Local Repository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Local Repository를 만드는 이유는, 실제 환경은 내부망이기 때문에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yum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이때 local Repository를 만들어서 yum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vi /etc/yum.repos.d/CentOS-Base.repo name: repository 이름 mirrorlist: 등록된 경로를 자동으로 찾고 그 사이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함 baseurl: 직접 지정한 저장소 주소 gpgcheck: gpg key 사용 여부 (패키지 변조 및 정상 여부 파악) gpgkey: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 enabled: 해당 레포지터리 활성화 여부 각 name 상단에 base, update..

Linux 2024.01.12

리눅스 계정 설정파일

리눅스의 계정관련 설정파일들은 /etc/passwd /etc/group /etc/shadow /etc/default/user /etc/login.defs /etc/skel 이 있습니다. /etc/passwd c= ID :x= 패스워드 :1002= UID :1002= GID := 코멘트(설명 칸) :/home/c= 홈디렉토리 :/bin/bash= login shell /etc/skel /etc/skel 안에 파일들을 보면 (work, manual.txt 제가 생성한 것 입니다.) 계정을 새로 생성하면 들어있는 파일들과 동일합니다. 이 처럼 /etc/skel이 경로 안에 새로운 파일들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계정을 새롭게 만들면 만들어진 계정의 디렉토리안에도 동일하게 생성이 됩니다. /etc/shadow d..

Linux 2023.12.21

LVM(Logical Volume Manager)란?

오늘은 L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장배경 => 기존에 사용하던 Storage가 Full이 될 경우 어떻게 해결할 것 인가? Mount의 문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 이 때 LVM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File System을 이용해서 직접 디스크를 제어하지 않고 LVM이라는 논리적인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디스크를 관리 PV(Physical Volume): 물리적인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LVM으로 사용하겠다 선언 pvcreate pvscan: 가장 간단하게 pv 상태 확인 pvs: 조금 더 자세하게 pv 상태 확인 pvdiplay: 아주 자세하게 pv 상태 확인 pvremove VG(Volume Group): 물리적인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으로 관리 vgcreate -s: ext..

Linux 2023.12.18

Linux 디스크 관리

디스크 관리(Storage Management) 1. DAS(Direct Attach Storage): 시스템과 스토리지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System Storage 장점: -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며 비용이 저렴하다.(SCSI, IDE) 단점: - 확장성 떨어짐 - 원거리 설치 불가 2. NAS(Network Area Storage):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100Mbps ~ 1Gbps) 내에 존재하는 storage 장점: - 비용이 저렴하다. - 확장성이 뛰어남(NFS, iSCSI) 단점: - 속도가 느리다. -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이 생기면 더 느려짐 3. SAN(Storage Area Network): storage 영역내에 별도로 구성하는 네트워크, Fiber Channel 사용 장점: - ..

Linux 2023.12.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