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태틱 라우팅이란?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의 routing table에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로, 목적지 정보를 관리자가 명령어를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설정 명령어 (configure terminal에서 사용)
ip route <목적지 IP> <gatewayIP>(* Network IP로 설정해줘야함) subnet <routeIP>
ex) ip route 13.57.98.96 255.255.255.224 10.10.0.1
디폴트 스태틱 라우팅
특수한 유형의 정적 경로로, 송신지에서 수신지를 알지 못하는 모든 패킷을 라우팅하는 경로이며 가능한 모든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에 라우팅 테이블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설정 명령어 (configure terminal에서 사용)
ip route 0.0.0.0 0.0.0.0 <routeIP>
ex) ip route 0.0.0.0 0.0.0.0 10.0.0.1
시리얼 설정

serial 선을 연결하기 전에 라우터의 전원을 끄고 WIC-2T를 부착한 후에 다시 전원을 켜서 연결을 해주었다.
그 후 연결을 해주면 아래와 같은 모양이 나온다.

이 때 시계모양이 있는 라우터에 clock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clock rate : 시리얼 링크의 초당 비트 전송속도를 지정하는 명령어, 보통은 필요가 없는 명령어
이 명령어가 필요한 경우는 CSU/DSU를 사용하지 않고 Back-To-Back 시리얼 케이블을 이용하여 라우터끼리 직접 연결을 할 때 설정이 필요
시리얼 설정 명령어
interface serial "0/0/0"
ip address <routeIP> <Subnet>
clock rate "40000000" (시계 부분이 있는 라우터만 설정)
telnet 설정

ssh 설정
원격에서 접속을 할 때 사용하는 명령
주의할 점으로는 ssh는 user가 무조건 있어야 함으로 먼저 username과 비밀번호를 설정해줘야한다.
SSH 설정 명령어
(configure terminal에서 설정)
username "username" secret "password"
ip domain-name sh.com (도메인으로 접속할 때 설정)
crypto key generate rsa : 새로운 rsa 라는 키를 암호화 시켜준다.
yes : 키를 바꿀지 결정
2048 : 모듈의 bit수를 정해준다.
ip ssh version 2 : ssh 버전 설정
exit
line vty 0 4
login local
transport input ssh
exit
SSH 접속 명령어
ssh -l "IP" "username"
반응형
'네트워크 실습 > Cisco-Packet-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6일 (1) | 2023.12.29 |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5일 (1) | 2023.12.27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4일 (0) | 2023.12.16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2일 (1) | 2023.12.11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1일 (1)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