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VLAN 포트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VLAN의 주된 목적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는 것 입니다.
두 단말이 서로 통신이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 같은 네트워크 대역일 것.
- 같은 VLAN 포트 일 것.
VLAN 설정 명령어
switch (config) # vlan "ex) 100 " : VLAN "100" 를 생성해줍니다.
switch (config-vlan) # name "ex) admin" : VLAN "100"의 이름을 "admin"으로 바꿔줍니다.
exit
switch (config) # interface "ex) f0/0" : fast이더넷 0/0 포트로 접속
switch (config-if) # switchport access vlan "ex) 100" : VLAN "100"에 f0/0 포트를 할당
위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 그림처럼 생성하면 같은 네트워크 대역과 같은 VLAN 포트끼리는 통신이 됩니다.

하지만 그 외 단말들은 서로 통신이 되지가 않습니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 같은 VLAN 포트가 아니여도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runk라는 기능을 사용해보았습니다.
Trunk 포트에 대해 잠깐 알아보자면
-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통과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
- Trunk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위치끼리 통신할 경우 동일 VLAN 사이에서만 통신이 가능
- 서로 다른 VLAN 사이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L3 Device(즉, 라우터)를 통해 라우팅이 되어야한다. (논리적으로 다른 NetWork이기 때문에 라우팅이 필요)
Trunk 포트를 사용하기 위해 라우터를 추가해서 구성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맨 왼쪽 스위치에서 라우터와 연결된 G0/2 포트, 오른쪽 스위치와 연결된 G0/1 포트를 trunk 설정을 해준다.
Trunk 명령어
switch (config) # interface g0/2 : g0/2 포트 설정
switch (config-if) # switch mode trunk : 스위치 모드를 trunk포트로 설정해준다.
Trunk 설정은 한 쪽에서 해주면 다른 한쪽에서는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설정을 완료한 후 10.0.0.1에엇 10.0.0.130에 ping 명령어를 사용해보면
첫 번째는 ARP 프로토콜 때문에 ping하나가 빠지지만 이후에는 통신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5일간 네트워크 관련 실습을 해보았다.
이론적으로만 배웟던 내용을 직접 사용을 해보니 점점 감이 잡히는 것 같다.
다음에는 다른 내용으로 뵙겠습니다.
'네트워크 실습 > Cisco-Packet-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7일 (0) | 2023.12.30 |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6일 (1) | 2023.12.29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4일 (0) | 2023.12.16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3일 (0) | 2023.12.12 |
네트워크 실습 공부를 위한 Cisco Packet Tracer 2일 (1)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