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만 가능 장점: APIPA(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169.254.X.X ~ 169.254.X.X 즉, 위 대역의 IP가 보이면 아래와 같이 유추 할 수 있다. Network에 문제가 생겨서 DHCP서버에 도달 할 수 없는 경우 DHCP 서버 자체의 문제가 생겨서 도달 할 수 없는 경우 우리 회사는 고정 IP를 사용한다.
이번엔 DHCP 설정을 통해 동작하는 법을 보겠습니다.
우선 제가 사용하고 있는 CentOS7에서 DHCP 패키지를 받아줍니다.
yum install -y dhcp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etc/dhcp/dhcpd.conf 파일에 설정을 해줄 건데, 실제 설정 파일은 /usr/share/doc/dhcp*/dhcpd.conf.example에 있어서 파일 내용을 복사해줍니다.
vi 편집기에서 명령모드로 변경 후
:$ r /usr/share/doc/dhclient-4.2.5/dhcpd.conf.example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됨
본래의 내용 밑에 입력한 내용이 붙는다.
dhclient.conf.example 파일안의 내용을 현재 파일의 맨 아래에 복사
위의 설정 파일의 내용을 풀어보면 아래와 같다.
옵션
설명
range 10.0.0.41 10.0.0.249
DHCP로 할당하려는 IP 범위
option domain-name-servers 10.0.0.3, 8.8.8.8
사용하려는 DNS 서버 IP
option domain-name "SH.kr"
도메인 이름을 SH.kr로 한다
option router 10.0.0.254
라우터의 IP는 10.0.0.254이다
option broadcast-address 10.0.0.255
브로드캐스트 IP는 10.0.0.255이다
default-lease-time
임대시간은 4시간이다
max-lease-time
최대임대시간은 4시간이다
hardware ethernet 00:00:00:00:00:01
MAC주소
fixed-address 10.0.0.100
위의 MAC 주소의 고정 IP는 10.0.0.100 이다
DHCP 설정을 마치고 systemctl restart dhcp를 하면
가상 Window 서버의 cmd창에서 ipconfig /release 후에 /renew 하면 DHCP로 IP가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아래는 IP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