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DS란?
: Relation Database Server, 이름 그대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이다.
RDS 생성
원하는 조건을 선택하여 생성!
워크벤치 같은 툴을 사용하려면, 생성 할 때 퍼블릭 엑세스를 허용 해준다.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로 workbench에서 로그인 할 수 있다.

워크벤치 연결

워크 벤치의 hostname에 RDS의 엔드포인트를 입력하고 usernamer과 패스워드에서는 RDS 생성 할 때 입력한 정보를 넣어주면 된다.


터미널에서 mysql 설치 및 연결
sudo apt install -y mysql-server: mysql 설치
mysql --version: mysql 버전 확인
mysql -u admin -p -h <RDS의 엔드포인트>: mysql 연결

※ DB UTC => 한국 시간 변경

zone이라는 파라미터 그룹을 생성 해줍니다.

1번째로 time_zone 검색, 2번째로 지역을 Asia/Seoul 로 변경 해주고, 변경 사항 저장을 해준다.

데이터베이스 수정을 눌러서 추가 구성에 DB 파라미터 그룹에 아까 만든 zone으로 바꿔주고 즉시 적용 해준다.



재부팅 후 워크벤치나, 서버 콘솔에서 select now(); 명령어로 시간을 확인해주면 된다.

※ 한글 깨짐 방지
시간 변경과 동일하게 파라미터 그룹에서 "character" 검색 후 utf8로 변경가능한 것들은 모두 변경

또한 "collation" 검색 후 utf8_general_ci로 바꿔줄수 있는 것들만 다 바꿔준다.

그리고 위의 시간 맞추는 것 처럼 데이터베이스의 옵션을 변경 후 재부팅을 해주면 적용된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프레미스 DB를 AWS 에 복제 하기 (0) | 2024.01.30 |
---|---|
VPN을 사용하여 집 공유기와 AWS 연결 (untangle) (0) | 2024.01.24 |
AWS - (Nginx, Tomcat, 로드밸런서 사용해보기) (1) | 2024.01.22 |
AWS 기초 (AMI, VPN 연결) (0) | 2024.01.15 |
AWS 기초 (VPC, 서브넷, NAT 게이트웨이, 인스턴스 등) (1)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