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온프레미스에 있는 DB를 AWS에 마이그레이션을 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서비스는 DMS 이다.
구조는 아래와 같다.

DMS를 사용하기에 앞 서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환경을 연결 부터야 해야한다.
온프레미스 <-> AWS 연결은 1. untagle을 활용한 VPN연결 참고
이제 DMS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Target database 생성
온프레미스에 있는 DB 정보를 받아줄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AWS RDS -> 데이터베이스 -> RDS 생성

(자세한 생성은 생략)
2. (DMS) 서브넷 그룹 생성


3. (DMS) 복제 인스턴스 생성


4. (DMS) 소스 엔드포인트 생성
소스 엔드포인트는 온프레미스 쪽 데이터베이스를 뜻한다.


5. (DMS) 타겟 엔드포인트 생성
타겟 엔드포인트는 앞서 2번에서 생성해둔 RDS를 선택해주면 된다.

5-1 (DMS) 연결테스트
소스 엔드포인트 <-> 복제 인스턴스 간의 연결 테스트를 먼저 진행해주면 연결이 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6. (DMS)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태스크
이제 마이그레이션 태스크만 진행하면 됩니다.
태스크를 먼저 생성을 해줍니다.




7. 결과 확인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S fargate 구성해보기 (0) | 2024.02.03 |
---|---|
EKS 클러스터 생성 (1) | 2024.02.01 |
VPN을 사용하여 집 공유기와 AWS 연결 (untangle) (0) | 2024.01.24 |
AWS - (Nginx, Tomcat, 로드밸런서 사용해보기) (1) | 2024.01.22 |
AWS - RDS(한글깨짐, 워크벤치 연결)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