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버네티스에서는 네임스페이스 별로 pod, service 등등 자원이 나뉘는데,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자원들을 조회하려면
ex) # kubectl get pods -n test
위와 같이 네임스페이스를 명시해줘야한다. (기본적으로는 default 네임스페이스)
뒤에 -n 옵션 후 네임스페이스를 명시하는 것이 귀찮다면, 기본적으로 default 네임스페이스를 다른 네임스페이스로 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nsible-awx 라는 네임스페이스를 default 네임스페이스 대신 하고 싶다면,
# kubectl config set-context --current --namespace ansible-awx
위와 같이 커맨드를 입력을 해주면 변경된다.
변경 후 확인 방법은, 아래의 커맨드를 입력해주면 된다.
# kubectl config view --minify|grep namespace
--minify 옵션을 넣어주면, grep으로 잡아준 namespace 외의 결과 값을 없애준다.
namespace가 ansible-awx 일 때
namespace가 default 일 때
kubectl get pods 라는 명령어를 동일하게 쳤을 때,
네임스페이스가 다르다 보니 확인 되는 POD도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생성 및 접속 (0) | 2024.08.06 |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 DNS 주소 변경 (0) | 2024.07.26 |
Kubernetes 네임스페이스 별 자원할당 (0) | 2024.06.11 |
쿠버네티스 Metrics 설치 (1) | 2024.06.10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Master, Worker 노드 추가 (0)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