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생성
#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6.1/aio/deploy/recommended.yaml
그리고 저는 metallb를 사용하고 있어서 서비스 type을 LoadBalancer로 변경 하였습니다.
# kubectl edit service -n kubernetes-dashboard kubernetes-dashboard
그리고 LoadBalancer의 IP로 접속을 하면 토큰, kubeconfig 방식 중 하나로 로그인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저는 Token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ServiceAccount 부터 생성을 해줍니다.
# vim serviceaccount.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Account
metadata:
name: dashboard-admin-sa
namespace: kubernetes-dashboard
그리고 적용
# kubectl apply -y serviceaccount.yaml
이제 ClusterRoleBinding을 해줍니다.
# vim cluster-role-binding.yaml
api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
kind: ClusterRoleBinding
metadata:
name: dashboard-admin
roleRef:
apiGroup: rbac.authorization.k8s.io
kind: ClusterRole
name: cluster-admin
subjects:
- kind: ServiceAccount
name: dashboard-admin-sa
namespace: kubernetes-dashboard
그리고 적용
# kubectl apply -f cluster-role-binding.yaml
이제 token을 생성 해보겠습니다.
kubectl -n kubernetes-dashboard create token dashboard-admin-sa
이후 나오는 token 값을 넣어주면 대시보드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완료 됩니다.
이상 입니다.
반응형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를 사용하여 k8s에서 PV 동적 할당 해보기 (4) | 2024.10.11 |
---|---|
Istio 설치 (0) | 2024.09.27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 DNS 주소 변경 (0) | 2024.07.26 |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 변경 (0) | 2024.06.27 |
Kubernetes 네임스페이스 별 자원할당 (0) | 2024.06.11 |